🔥[Hotel Feature] 재도약, 반등의 기회 노리는 중소형호텔
- 중저가 호텔 시장의 패러다임, 공간과 기능의 변화 요구돼🔥
길거리를 누비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늘어나며 움츠렸던 호텔들이 기지개를 펴고 있습니다. 외국인 관광객 투숙비율이 컸던 명동, 동대문, 홍대 등의 호텔 상권이 살아나기 시작, 특급호텔과 다르게 유독 혹한기가 길었던 중소형호텔의 시름을 덜어주고 있는데요, 호텔들은봇물 터지듯 밀려들어오는 객실 수요를 적극적으로 흡수하면서 본격적인 재기를 위한 내실화 전략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한편 3년 전과 달라진 여행 및 숙박 니즈로 중소형호텔 운영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견됩니다. 코로나19로 급격히 줄어든 호텔이 수요를 충당하지 못해 중소형호텔의 창업 전망이 좋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관광부동산, 리모델링 및 공간 개발, 위탁 운영 등의 신생업체들이 급격히 증가, 전반적인 중소형 숙박 시장의 패러다임이 달라질 모양새입니다.
🔑Keyword: 중소형호텔, 경영전략, 1성, 2성, 3성, 관광부동산 |
|
|
🍀[Visit Society] 카지노산업의 학술적 접근을 위한 첫걸음, 한국카지노관광학회 - 건강한 산업 생태계 재건과 발전 방향 모색 기대돼🍀
지난 2월 24일, 국내 최초로 카지노산업 발전을 위한 한국카지노관광학회가 출범했습니다. 그동안 카지노는 호스피탈리티산업 내에서 관광 혹은 호텔위 하위 분야 정도로 인식됐을 뿐 아니라 관광, 호텔, 외식과 관련된 학회는 많았음에도 카지노만을 전문으로 하는 학회는 없었는데요, 이에 국내 최초로 카지노를 산업적 측면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한국카지노관광학회의 출범은 카지노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모색하게 됐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또한 대개의 학회가 학계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에 나아가 정부기관, 산업계, 법조계, 언론 등 다방면의 전문가들로 준비위원이 구성돼 의미를 더했습니다. 출범식은 메이필드호텔 서울에서 발기인 총회와 함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속가능한 카지노산업 발전방안’ 주제의 기념 포럼으로 이뤄졌으며, 행사에는 국내·외 관광업계, 학계, 공공기관, 지자체 관계자 및 전문가로 구성된 약 50인이 참석해 학회의 첫 걸음을 기념했습니다. |
|
|
🤝[Korea Hotel Show]
미리보는 '코리아 호텔쇼 2023' 참가업체 ④🤝
유의미한 데이터와 효율적인 리뷰관리를 돕는 기업, 숙박 전 과정의 디지털 솔루션을 돕는 테크 기업, 숙박 생태계 디지털 선도 기업과 국내 유일 하우스키핑 플랫폼, 호스피탈리티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기업까지! 호텔업계에서 빠질 수 없는 축제, 6.14~6.16에 열릴 코리아 호텔쇼의 참가업체들을 살펴 보시죠! |
|
|
🔷 [Specialist Project]
호스피탈리티 업계의 변화 속 전문가들이 뭉쳤다 🔷
이제 호텔은 단순히 잠을 자는 공간에서 벗어나 숙박 외에도 파티, 워케이션 등 다양한 수요를 아우르는 공간이 됐습니다. 때문에 호텔의 공간 자체를 고객이 흥미롭게 느낄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점인데요, 이에 관광·채용 플랫폼을 운영하는 호텔인네트워크에서 업계에 잔뼈가 굵은 전문가들을 모아 호텔 컨설팅 연구소(Hotel Consulting Lab, 이하 HCL)을 창설했습니다.
HCL은 라이프 스타일에 강점을 둔 호텔부터 빅데이터 마케팅, AI 등 트렌드를 반영, 진화된 환경에 입각한 호텔부터 HR, 개발까지 호스피탈리티 업계 전반을 리딩하는 컨설팅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
|
|
🌍 글로벌 여행 & 호스피탈리티 솔루션 ‘tripla(트리플라)’
한국 진출로 아시아 시장 확대, 황성원 한국 대표 임명 🌍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호텔솔루션 회사 tripla(tripla Co., Ltd. | 트리플라)는 한국법인을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아시아 시장 확대에 나선다고 발표했습니다. 2015년 일본에서 설립된 tripla는 호텔 및 모든 숙박업체가 tripla의 기술을 통해 최소의 운영 인력으로 최대의 수익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해 왔습니다. 현재까지 일본과 대만에 2100개 이상의 호텔과 숙박업체가 tripla의 솔루션을 이용하고 있으며 빠른 성장세를 증명하듯 2022년 11월 일본 증권거래소 JPX에 성공적으로 상장을 했습니다.
한국 대표로 임명된 황성원 대표는 “한일 양국은 항공 및 숙박에 있어서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여행자의 숫자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며 코로나를 겪으며 침체돼 온 호텔 및 숙박업의 부족한 인력난, 높은 OTA 수수료, 효율적인 운영에 대한 고민을 tripla의 기술로 해결하고 침체된 호텔 및 숙박 산업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
[32nd Special Hospitality Story]
호텔의 상징, 총지배인으로 가는 길
고객 뿐만 아니라 내부 직원들도 또 다른 게스트로서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 호텔 내 운영 관리에 보다 힘써야 하는 조건에 놓여있는 것. 이렇 듯 오랜 경력을 바탕으로 막중한 책임감을 지니고 있는 총지배인이 되는 코스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룹사나 호텔 내부 임원들이 지정해 일임 받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본격적인 양성 프로그램으로 총지배인이 되는 경우도 많은데요, 이번 지면에서는 각 호텔의 총지배인 양성 프로그램 및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
[Hotel Index]
서울시내 자치구별 호텔업 등록 현황
2022년 12월 31일 기준, 서울시는 관광호텔업 332, 가족호텔업 20, 호스텔업 112, 소형호텔업 9개소 총 455개소, 5만 9257실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3월 말 기준과 비교했을 때 총 8개소, 2226실이 감소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19년까지 매년 호텔 수의 증가폭이 큰 편이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소폭 증가를 이어가다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다음 호에는 서울시내 자치구별 호텔업 사업계획승인 현황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
|
|
👨✈️호텔업계 New 채용 소식👥
(from. 호텔인네트워크) |
|
|
(주)에이치알발신자 news@hotelrestaurant.co.kr주소 서울시 마포구 성미산로 19길 49 1층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