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9월호가 발행 됐습니다!💜 |
|
|
편집장이 소개합니다✋ 9월의 핵심 키워드는
MICE, 지열에너지, 호텔리뷰, 디지털전환, 건강식
무더운 여름도 태풍이 한차례 지나가니 한풀 꺾이는 계절입니다. 더위는 건강히 잘 보내셨나요? 저희는 올 여름 치솟는 온도만큼이나 높아지는 전기, 가스비에 대비해 대체 에너지 시리즈 기획기사를 연재하고 있는데요. 이번 호에서는 우리가 발딛고 있는 이 땅, 소중한 지열 에너지를 다뤄봤습니다. 우리 호텔이 위치해 있는 대지 아래에서 어떤 에너지가 생성될까요?
오랜만에 재개된 좌담회는 엔데믹을 맞이한 요즘, 인바운드업계에 이어 MICE업계의 회복세는 어떤지 살펴봤으며, Hotel DT에서는 국가별 호텔 디지털 전환 사례를 들여다봤습니다. 이번 Hotel Specialist는 호텔에서 디제잉과 다이닝을 책임지고 있는 라이즈오토그래프컬랙션의 최정하 총주방장을 인터뷰했습니다. 이어 F&B와 관광 기획으로는 지난 6월 14일부터 3일간 진행된 코리아호텔쇼 내 주류대회에서 배출한 6인의 주류 전문가들을 인터뷰했고, 최근 호텔을 비롯해 다이닝 씬에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건강식과 공항과 항공업계의 엔데믹 재개 현황에 대해서도 취재해봤습니다.
9월호 HR Insight도 다양한 분야의 소식을 담았는데요. 특별 기고로 Tourism Column은 DOJC Korea의 최윤희 대표가 K-컬처와 한류관광에 대한 내용을, Dining Column으로 혜전대학교 호텔조리계열 강병남 교수가 고객만족 서비스의 중요성을 설파했습니다. 9월호도 알찬 내용으로 가득한 <호텔앤레스토랑> 매거진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Editing by. Noh A Yun
|
|
|
🍏 미리보는 9월의 Hotel Feature 🍏
땅 속에도 에너지가 있다, 지열 에너지의 발견 사계절 불철주야 돌아가는 안정적인 에너지, 지열
앞선 7월호에서는 호텔의 에너지 절감 사례를 들며, 새로운 신재생에너지로 수열에너지를 소개했습니다. 8월호에서는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태양광에너지를 알렸으며 현재 신재생에너지 관련해서 정부 제도 및 글로벌 흐름이 바뀌어 가는 현황을 짚었는데요. 이어서 이번 지면은 우리와 가깝게 닿아있고, 많은 곳에서도 이미 활용하는 중이며, 주택이나 호텔에서도 도입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는 지열 에너지를 다뤄보고자 합니다.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에너지 흐름을 구축하는 지열 에너지를 호텔에 활용한다면 어떤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까요?
🔑Keyword: 가스, 신재생에너지, 지열
※기사는 추후 호텔앤레스토랑 홈페이지에 업로드될 예정입니다. |
|
|
🔮 관광스타트업·지자체·여행업계가 함께하는 협업의 장
‘2023 관광기업 이음주간’ 개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2023 관광기업 이음주간(Tourism Connect Week 2023)’을 오는 9월 19일(화)부터 21일(목)까지 신사동 소재 카페캠프통에서 개최합니다. 올해 3회째를 맞이한 ‘관광기업 이음주간’에서는 ‘참여, 연결, 혁신 : K-관광 2030’을 슬로건으로 엔데믹 시대 관광산업 혁신을 주도하는 관광스타트업 2030 창업자가 만들어 나가는 새로운 한국관광의 미래를 한발 먼저 만나볼 수 있는 장을 제공하는 데 주안점을 뒀습니다.
|
|
|
🎓[Hotel MBA]🎓
㈜리호텔파트너스, 관광부동산 개발 최고 경영자과정 2기 모집
올해 3월, 국내 최초로 신설된 연세대학교 <관광부동산 개발 최고 경영자과정>이 성공적으로 1기의 대장정의 막을 내리고 2기 모집에 나섰습니다. <관광부동산 개발 최고 경영자과정>은 21세기 미래 스마트 관광도시 및 관광부동산 개발을 주도하기 위해 지자체, 정부기관, 각종 관광 및 부동산 관련 기업체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미래형 관광부동산 최고위과정입니다.
주요 커리큘럼으로는 선진형 관광부동산, 부동산금융, 스마트 관광도시, 첨단 관광부동산개발 전략 및 외래관광객 3,000만을 겨냥한 새로운 트렌드의 관광지 개발 등, 차세대 수익형 부동산으로 떠오르고 있는 관광호텔 및 부동산의 개발부터 운영까지 모든 것을 각 분야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의 강연을 통해 만나볼 수 있는 유일무이한 강좌들을 담고 있습니다. |
|
|
🏝️ 미리보는 9월의 Special Forum 🏝️
K-MICE의 기회 속 수면 위로 떠오른 난제들 양적 팽창과 질적 성장의 기로에 놓인 MICE업계를 논하다
팬데믹으로 침체됐던 글로벌 비즈니스 여행 시장이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게다가 국내의 경우 중국이 6년 5개월 만에 단체여행을 허용하면서 더욱이 인바운드 활성화의 물꼬가 트인 분위기 속 MICE의 호재가 잇따르고 있지만 실상은 멈췄던 팬데믹 기간 동안 업계가 마주하게 된 과제들이 내부적으로 산적돼 가고 있는 중인데요.
결국 기존의 고착화된 패러다임을 시대의 흐름에 맞게 전환하고 고도화된 MICE산업 발전을 위한 업계의 융합과 연대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MICE업계 전문가들을 만나 팬데믹 이후의 MICE산업 회복 현황과 앞으로의 재건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Keyword: MICE, 비즈니스여행, K-MICE, 블레저
※기사는 추후 호텔앤레스토랑 홈페이지에 업로드될 예정입니다.
|
|
|
[Hotel Spot]
오프라인의 꽃
연회 공간의 구성이 바뀌어간다
❗ Keyword: 맞춤형, 자유로운 공간,
다양화
그동안 인원 제한으로 인해 만나지 못했던 비즈니스 미팅과 행사, 파티, 돌잔치 등 여러 연회가 다시 정상화 되면서 호텔의 대연회장과 소연회장 할 것 없이 바빠지는 모양새다. 그렇다면 각 프로그램의 양상에 따라 연회장의 특성은 어떻게 변모하고, 또 어떻게 유지되고 있을까? |
[Inbound Inside]
비자와 K-ETA, 현장의 목소리에 기반 둔 정책 개선의 노력 요구
❗ Keyword: 비자, K-ETA, 전자여행허가제, 인바운드
숨죽이고 있던 항공 및 여행업계에 조금씩 활기가 도는 듯 보이지만 여전히 진퇴양난인 업계도 있다. 바로 동남아시아 인바운드다.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을 중심으로 지난해부터 꾸준히 문제 제기되고 있는 비자 이슈들이 해결되지 않은 채 차일피일 시간만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
|
|
🌊 호텔업계 New 채용 소식 🌊
(from. 호텔인네트워크) |
|
|
(주)에이치알발신자 news@hotelrestaurant.co.kr주소 서울시 마포구 성미산로 19길 49 1층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