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3월호가 발행 됐습니다!🍀 |
|
|
편집장이 소개합니다🗯️ 3월의 핵심 키워드는
호텔경영학과, 외식경영학과, K-컬처, K-푸드, 특급호텔경영전략
만물이 소생하는 3월, 주요 관광지에서 반가운 외국인 관광객의 모습들이 자주 눈에 띄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K-컬처의 영향이 관광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이는데요! 얼어붙었던 인바운드 관광이 하루빨리 재도약이 이뤄지길 바라며, 이번 3월호는 지난호에 이어 K-컬처와 K-푸드의 현재와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다뤄봤습니다. Hotel Feature로는 살아나는 시장 속 여전한 인력난으로 업계의 고민이 계속되는 가운데 팬데믹의 여파로 호텔과 외식, 관광학과가 비인기과목으로 전락, 새 학기를 맞이하는 3월이지만 지방대학을 중심으로 정원미달의 난세에 접어들었습니다. 이에 학계에서는 인재 양성의 과제를 어떻게 해결하고자 하는지 그 움직임을 살펴봤습니다. 한편 신년특집으로 기획되고 있는 특급호텔 경영전략은 이번달부터 다음달까지 4성호텔들의 전략을 살펴봤습니다.
따뜻한 봄 맞이도 <호텔앤레스토랑> 매거진과 함께 해보세요~! 그리고 32주년 창간기념호로 더욱 많은 특집기사로 준비될 4월호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Editing by. Noh A Yun
|
|
|
🏃미리보는 3월의 Hotel Feature🏃♀️
난세에 들어선 호스피탈리티 인재 양성의 길 - 현장실무 기반한 학과 교육의 재편 이뤄져야
호텔과 외식, 관광업의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핵심 노동인구의 감소, 호텔, 외식업에 대한 매력도 하락, 사회구조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같은 복잡다단한 원인들이 얽히고설킨 결과로, 미래를 바라보는 업계의 가장 어렵고, 해결하기 중한 과제가 됐다. 그런데 돌파구 모색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핵심 노동인구만큼 저출산의 영향으로 학령인구가 급감, 사회로 인재를 배출해야 할 대학의 정원 충원 위기가 본격화됐기 때문이다. 그동안 일부 지방대학의 고민이었던 이슈들이 수도권대학의 현실로 다가왔다. 특히 호스피탈리티산업의 경우 코로나19의 여파로 산업의 불안정성이 여실히 드러나며 학과 선택에 있어서도 호소력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관련 학과들은 분위기 쇄신을 위한 커리큘럼 개편, 교육방식의 보완, 산학협력 강화 등의 방법을 강구 및 적용하고 있다.
🔑Keyword: 정원미달, 학령인구, 산학협력, 호텔경영학과, 외식경영학과
Interview_ 세종대학교 호텔관광대학 외식경영학과 김은주 교수
Interview_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경영학과 김혜영 교수
Interview_ 상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이승우 교수
※기사는 추후 호텔앤레스토랑 홈페이지에 업로드될 예정입니다. |
|
|
🏃미리보는 3월의 Dining Feature🏃♀️
지속가능한 구조 만들어 나가야 하는 K-푸드의 비전 - 한식당, 프랜차이즈 기업, 영세 기업 모두 기회 주어져야
한식 세계화는 로컬 한식당부터, 비비고나 대상 등 식당, 기업을 막론하고 너나할 것 없이 뛰어들고 있는 영역이다. 이전에는 한식의 건강함과 맛, 정갈함 등 요리 그 자체의 장점을 살리며 세계화 방안을 수립했다면, 현재는 불닭볶음면, 한국식 치킨 등 식품의 영역으로 확장됐다. 또한 K-컬처가 사랑 받으면서 한식이 ‘K-푸드’라는 큰 고유명사로 자리잡힌 것도 빠질 수 없다. 음식은 문화며, K-컬처가 확대되며 한국의 위상이 넓혀진 지금, K-푸드의 세계화는 단기적인 트렌드가 아니라 지속가능한 모멘텀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해졌다.
지속적으로 K-푸드가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기 위해서는 어떤 방향성을 지니고 나아가야 할까?
🔑Keyword: K-푸드, 전통 한식, 한식의 세계화, 한식 산업화
Interview_ 한식진흥원 김대균 사무총장
Interview_ 광운대스마트융합대학원 관광외식산업학과 장우철 교수
※기사는 추후 호텔앤레스토랑 홈페이지에 업로드될 예정입니다. |
|
|
(Hidden Track) 👀신년에만 맛볼 수 있는 특집 기사가 있다는데…👥
기사가 나올 때마다 문의가 쇄도하는 2023 전국 주요 4성 호텔 경영 전략 및 비전 上 및 서울시내 자치구별 호텔업 등록 현황 등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다채로운 기사를 준비했으니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
|
|
📖 Book Review 📖
사실상 엔데믹으로 접어 들며 주춤했던 각 국가 간의 오프라인 비즈니스 및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자, 민간 외교라 불리는 MICE산업도 수요가 샘솟는 중이다.
그러나 아무리 MICE산업 관련한 정보를 찾아보려고 해도 전공서나 학술지 외에는 부재한 상황에서 누구나 읽기 좋은 흥미로운 책이 발간됐다. 바로 MICE업계에 몸담은 프로 MICE러, 수원컨벤션센터 홍주석 팀장이 지난 11월에 펴낸 <여행, 도시, MICE 마케터들의 이야기>다.
💎구매 링크💎
|
|
|
🏨호텔 비즈니스의 A to Z를 견인하다 제11회 코리아호텔쇼, 6월 14일부터 3일간 진행🏨
호텔·숙박, F&B산업에 새로운 변화와 비전, 그리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호텔 비즈니스를 윤택하게 하는 셀러와 바이어의 네트워킹이 가능한 ‘제11회 코리아호텔쇼(2023 Korea Hotel Show)’가 6월 14일(수)부터 16일(금)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코리아호텔쇼는 <호텔앤레스토랑> 매거진과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호텔 전문 B2B 전시회다. 올해는 특히 레스토랑·F&B 산업전, ‘코리아레스토랑쇼(Korea Restaurant Show)’가 동시 개최, 보다 다양한 참관객과 바이어, 참가업체들의 실질적인 비즈니스를 도모할 예정이다. 여기에 부대행사들도 한층 업그레이드된 구성으로 진행된다. 코리아호텔쇼의 대표 이벤트인 ‘호텔산업 전문 컨퍼런스’를 비롯해, 호스피탈리티산업의 제품, 기술, 정책 등을 공유하는 ‘오픈 마케팅 스테이지’, 내로라하는 업계 대표 소믈리에, 바텐더, 주류명인들의 실력을 겨루는 대회, ‘주류위크(가칭)’ 등 호텔 비즈니스에서 필요로 하는 유익한 프로그램도 준비 중이다.
※기사는 추후 호텔앤레스토랑 홈페이지에 업로드될 예정입니다. |
|
|
[신년 특집_ Vision 2023]
2023 전국 주요 5성 경영 전략 및 비전 下
❗ Keyword: MICE, 초개인화, 다이닝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내 5성 호텔들은 올해 예상되는 뉴노멀, 뉴디멘드 시대, 초개인화 등 각종 트렌드들을 예의주시하며 각자 호텔들이 가진 자원들을 십분 발휘하겠다는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
[Dining Feature]
물리고 물리는 외식업 인력난의 굴레 ②
❗ Keyword: 인력난, 임금제도, 임금정책
이제는 현상을 받아들이고 앞으로 도래할 문제를 최소화하는 때. 최악은 벗어나기 위해 어쩌면 지금부터 드러나고 있을지 모를 머지않은 병폐들을 살펴보고, 외식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다.
|
|
|
👨✈️호텔업계 New 채용 소식👥
(from. 호텔인네트워크) |
|
|
(주)에이치알발신자 news@hotelrestaurant.co.kr주소 서울시 마포구 성미산로 19길 49 1층수신거부 Unsubscribe |
|
|
|
|